[형이상학] 보편자 실재론의 존재론

본 [형이상학] 항목은 교수님께 동의를 얻고 2021년 1학기 서울대학교 ‘형이상학’ 강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음을 밝힌다. 내용 흐름은 수업과 같은 순서를 따르고 있으나 핸드아웃을 최대한 풀어 쓰려 노력했다. 본 글에는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음을 밝히며, 그에 대한 책임은 나에게 있다. 사전 문의 없이 무단으로 복제, 배포하는 행위는 금한다.


가장 근본적인 차원에서 무엇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는가?
; 개체와 다른 범주의 존재자가 있는가?
; 플라톤) 보편자가 있다
; 플라톤에게 보편자는 일종의 이데아로, 개별자와 보편자 두 범주로 구분한다

개체와는 다른 범주의 존재자로서 보편자가 실재한다고 생각하는 근거를 보기 전에, 보편자라는 존재자가 만약 있다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보편자 실재론의 존재론이 무엇인지 먼저 이해해 보자

보편자 실재론의 존재론
; 보편자 실재론이 맞다면 개별자(particular)와 보편자(universal)가 존재
; 두 범주의 존재자를 아울러 이야기할 때는 ‘존재자(entity)’라는 용어를 사용
; ‘존재자’는 어떤 용어일 뿐, 그것이 개별자와 보편자를 포함하는 근본적인 범주는 아니다(형이상학적으로 근본적인 범주는 개별자와 보편자)
; 앞으로 논의에서 particular은 개별자(보편자 실재론의 틀 안에서 보편자와 대비되는 것으로서 이해), individual은 개체(보다 중립적인 의미)라고 칭한다

개별자와 보편자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어떤 존재자들을 각각 개별자와 보편자로 이해할 수 있는가?
; 개별자는 구체적 대상들, 즉 특정 시간에 단일한 공간을 점유하는 존재자이다
; 보편자는 반복적 존재자, 즉 특정 시간에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서로 다른 개체를 통해 전체적으로 완전하게 드러나는 존재자이다
; 개별자가 서로 다른 공간을 동시에 점유하는 방식은 부분적으로만 점유하는 것이다
; 그러나 보편자는 개체를 통해 시공간에 나타나는 방식은 한 검정이 여기에도, 또 다른 검정이 온전히 여기에도 나타나는 것이다
; 한 편에 나타난 검정만 봐도 검정이 무엇인지 전체적으로 완전히, 알 수 있다

개별자와 보편자에 대한 이 특징을 definition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 공간을 점유하지 않는 것은 개별자일 수 없게 된다
; 그러나 데카르트의 ‘정신 실체’는 공간을 점유하지 않음에도 개별자인 것 같다
; 엄밀한 definition으로 이해하기보다는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직관적인 구분을 돕는 전형적 특징으로 이해하자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관계: 예화 관계
; 일상적인 관계나, 일상적인 관계들을 통해 환원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다
; 예화 관계는 보편자 실재론을 통해 새롭게 도입된 이론적 관계이다

예화 관계를 이해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 보편자를 이해하는 두 방식에 상응하여 예화 관계 또한 두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플라톤적 보편자론
; 보편자는 개별자에 예화되어 있지만, 개별자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존재자이다
; 어떠한 개별자에 의해서도 예화되어 있지 않지만 존재하는 보편자가 있을 수 있다 ex. 한번도 구현되어 본 적 없는 자동차의 모양
; 보편자는 현실의 시공간에 있는 개별자와는 독립적인 존재론적 지위를 가지고 이데아 계에 있는 존재자이다
; 예화관계는 현실과 이데아, 두 영역을 연결해주는 관계이다

ex. 빨간 토마토에 대한 우리의 경험
; 토마토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 성립하기 이전의 근본적인 수준에서의 존재론적 모습이 있을 것이다
; 이데아 계에 있는 ‘빨강’이라는 보편자가 있고, 현실세계의 ‘토마토’라는 개별자가 있다
; 토마토에 빨강이라는 보편자가 예화되는 관계가 성립함에 의해 우리에게 빨간 토마토가 경험된다
; 토마토가 빨강이라는 보편자와 예화됨이라는 관계를 맺기 이전에, 토마토라는 개별자를 그 자체로 고려한다면 그 토마토는 색을 띄고 있지 않다
; 그 자체로 토마토는 색도, 모양도 없는 그런 어떤 것이다
; 토마토는 특정 보편자와 예화관계를 맺음으로서 우리의 경험에 드러난다
; 개별자는 보편자와 특정한 예화관계를 맺음으로써 우리의 경험에 들어온다
; 플라톤의 보편자는 우리의 경험, 우리의 시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한다(초월론적 보편자론)

아리스토텔레스적 보편자론
; 보편자는 개별자에 예화되어 있음으로써만 존재할 수 있는 존재자이다
; 우리가 개별자를 경험할 때 보편자는 바로 그 예화된 개별자에 존재한다
; 예화관계는 두 영역을 가로지르는 관계가 아니다, 현실세계 내에서 성립하는 관계이다

ex. 빨강이라는 존재자가 어떤 의미에서 토마토를 이루고 있다
; 플라톤적 보편자론에 의하면 빨강은 일차적으로는 토마토가 아니라 이데아계에 있고, 다만 경험에 의해 드러나는 것이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론에 의하면 빨강은 일차적으로 바로 토마토에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는 공간의 개체에 내재되어 있다 (내재적 보편자론)

대개 경험론적, 물리주의적, 자연주의적 신조를 가지고 있다면 아리스토텔레스적 입장을 선호할 것이다. 편의를 위해 내재적 보편자론을 채택하고 논의를 진행하자

보편자의 종류

일항보편자와 다항보편자
; 일항보편자(단항보편자)는 한 개별자에 의해 예화되는 보편자다
; 다항보편자는 둘 이상의 개별자에 의해 예화되는 보편자다(이항보편자, 삼항보편자, … n항보편자)
; 일항보편자는 ‘속성’, 다항보편자는 ‘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
; 특히 이항보편자는 ‘이항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 ex. 부자관계, 모녀관계

한편 일항보편자 가운데에는 ‘속성’이라 불리는 일항보편자뿐 아니라 ‘종’에 해당하는 일항보편자도 있다
; ‘종’에 해당하는 일항보편자와 ‘속성’에 해당하는 일항보편자 사이의 구분
; ‘빨갛다’, ‘둥글다’ 등은 속성에 해당하고, ‘사람임’, ‘개임’ 등은 종에 해당한다
; ‘종’이라는 일항보편자는 개체가 무엇임을 규정해 주는 특징에 해당한다(개체의 정체성을 부여)
; ‘속성’이라는 일항보편자는 일단 개체가 무엇인지 규정된 후 추가적으로 개체가 가지는 성질을 특징지어주는 것이다
; 종이 개체를 개별화하는 보편자라면, 속성은 개별화된 개체의 추가적인 성질을 특징지어주는 보편자다
;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볼 때 우리는 개체를 파악할 때 먼저 종 보편자를 통해 어떤 종 보편자가 예화되어 있는지 본 후 속성적인 측면을 보는 것 같다
ex. 소크라테스라는 개체가 있고 소크라테스가 사람이라는 종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개체가 된다
ex. 소크라테스는 이미 하나의 온전한 개체이고 그에 추가하여 대머리라는 속성이 성립한다
ex. 빨강을(속성 보편자) 개별화하는 방식은 임의적으로 수없이 많이 주어질 수 있지만, 컵은(종 보편자) 개별화되는 기준이 주어지는 것 같다

우리의 논의에서는 보편자를 속성 / 관계로 구분하여 보되, 속성 가운데에 종-속성(개체화 속성)과 그렇지 않은 속성이 구분될 수 있다고 하자

보편자는 개별자에 예화된다, 개별자는 보편자를 예화한다
; 어떤 보편자가 다른 보편자를 예화하는 것이 가능한가? 어떤 보편자에 예화될 수 있는 보편자가 있는가?
; 빨강이라는 보편자가 색이라는 보편자를 예화한다, 색이라는 보편자는 빨강이라는 보편자에 예화된다, 빨강이라는 보편자는 색이라는 보편자의 한 예시가 된다
; 개별자는 예화될 수 없지만, 보편자는 개별자에 예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보편자를 예화할 수도 있다(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비대칭성)

댓글 남기기